
▲스트리트파이터2 일러스트. / 캡콤 제공
1987년 등장해 2018년 기준으로 출시 31주년을 맞이한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의 시작은 1984년 등장한 오락실용 액션 게임 '스파르탄 엑스'에서 비롯됐다.

▲스파르탄 엑스 게임 화면. / 야후재팬 갈무리
게임 제작사 아이렘에서 당시 이 게임을 개발했던 니시야마 타카시(西山隆志)는 1984년작 스파르탄 엑스 개발 당시 구상했던 후속작을 1987년 '스트리트파이터'라는 격투 액션 게임으로 완성시킨다. 스파르탄 엑스는 주인공과 보스가 싸울 때 '1 대 1'로 대결을 벌이는데, 이 보스 대결 아이디어가 확장돼 스트리트파이터 기획 아이디어로 발전된 것이다.

▲스트리트파이터 게임 화면. / 야후재팬 갈무리
◆ 최초의 격투 게임은?
'격투 게임=스트리트파이터'이란 공식이 대중들의 머릿속에 박힐 만큼 전 세계적인 히트 콘텐츠가 된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는 사실 격투 게임의 시초는 아니다.
격투 게임의 시초로 인정받는 작품은 1984년 6월, '더블드래곤'으로 유명한 게임 제작사 테크노스재팬이 개발한 '공수도(空手道・Karate Champ)'다.

▲공수도 게임 화면. / 게임 앱 갈무리
테크노스재팬은 공수도 인기에 힘입어 속편인 '대전공수도 미소녀청춘편'을 1984년 9월 오락실에 선보인다. 이 게임은 여주인공 '모모'를 가라데 시합을 통해 쟁탈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게임의 승자는 모모의 사랑을 받고, 패자는 모모로부터 버림받게 된다.
일본 게임 업계는 '공수도'와 같은 해 6월에 등장한 세가의 프로레슬링 게임 '아포(Appoooh)'와 11월에 등장한 닌텐도의 '어반 챔피언(URBAN CHAMPION)'도 격투 게임의 시초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 스트리트파이터2로 폭발한 전 세계 격투 게임 붐
1991년 오락실에 등장한 '스트리트파이터2'는 복잡하고 다채로운 격투기 대결을 전에 없던 간단한 조작을 기초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게임 시스템으로 완성시킨 장본인이다.

▲스트리트파이터2 게임 화면. / 야후재팬 갈무리
스트리트파이터2의 폭발적인 인기는 1990년대 격투 게임 붐을 일으키는 기폭제로 작용했다. 게임의 인기에 편승해 수많은 게임 제작사에서 스트리트파이터2와 똑같은 게임 시스템을 채용한 격투 게임을 쏟아냈으며, 그 중에는 아랑전설・용호의권・사무라이스피리츠・킹오브파이터즈 등과 같은 인기 시리즈도 탄생했다.

▲영화 스트리트파이터. / 위키피디아 갈무리
스트리트파이터2의 성공과 이로 인해 발생한 1990년대 격투 게임붐은 전 세계 게임 업계에서 '격투 액션'장르를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으며, 훗날 글로벌 격투 게임 대회 '에볼루션' 등 다양한 게임 대회와 프로게이머를 탄생시키는 토양이 됐다.
◆ 초필살기(超必殺技)의 탄생
2016년 3월, 일본의 종합 장난감 전문 기업 반다이가 돌연 '필살기(必殺技)'란 단어를 일본 현지 특허청에 상표로 등록했다. 격투 게임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가 상표로 등록되면서 당시 게임 업계에서 필살기가 이슈화된 바 있다.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의 '파동권', '승룡권'으로 대표되는 게임 속 필살기는 1990년대 격투 게임붐 속에서 필살기를 뛰어넘는 '초필살기(超必殺技)'의 탄생을 불러왔다. 패배의 궁지에 몰린 캐릭터가 특수한 조작을 통해 발현하는 초필살기는 '한방역전'이라는 드라마틱한 연출로 큰 인기를 끌었다.

▲초필살기 ‘용호난무’. / 야후재팬 갈무리
◆ 장풍(掌風) 원조는?
격투 게임 필살기 원조 '파동권'은 손에서 발생된 기(氣)로 멀리 떨어진 상대방을 가격하는 기술이다.
'파동(波動)'이라 불리는 기의 덩어리를 발사하는 이 기술은 세계적인 인기 만화 '드래곤볼'의 격투기술인 '에네르기파(카메하메파)'에서 본따 만들었다는 것이 대중들의 생각이다.

▲북두신권 ‘북두강장파’. / 야후재팬 갈무리
1980년대 일본의 만화・애니메이션 콘텐츠 황금기 속에 탄생된 '북두강장파'는 무협 소설 등지서 간간히 등장했던 '장풍'에서 그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추측된다. '장풍'은 손바닥을 주요 타격 수단으로 사용하는 중국권법 '팔괘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팔괘장은 동양사상 중 하나인 음양팔괘(陰陽八卦)의 원리를 바탕으로 구축된 무술로 순식간에 다가와 손바닥으로 상대방을 기(氣)로 가격하는 격투 기술이다. 무협영화에서 무술고수가 살짝 손만 댄것 같은데 적이 나가떨어지는 기술은 팔괘장에서 가져왔다 보는 것이 맞다.
◆ 2D에서 3D 그래픽으로의 진화
게임 제작사 세가(SEGA)는 1993년 '버추어파이터'란 격투 게임으로 3D 격투 게임 시대의 막을 열었다. 버추어파이터는 이전에는 볼 수 없던 입체적인 그래픽과 실제 격투기에 가까운 기술로 구성된 쉬운 조작 시스템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버추어파이터 게임 화면. / 야후재팬 갈무리
막대한 컴퓨터 계산 능력으로 평면에서 입체공간으로 바뀐 격투 게임의 무대는 그간 앞뒤로만 움직이던 캐릭터를 필드 속에서 맘껏 움직일 수 있게 변화시켰으며, 이에 맞게 격투 게임 시스템 역시 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3D 격투 게임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갈래로 나뉜다. 하나는 '드래곤볼 제노버스'처럼 전투 공간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과 또 하나는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처럼 2D 격투 게임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대중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것은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와 같은 2D 격투 게임 시스템이다. 1990년대 스트리트파이터를 즐겼던 세대들을 흡수하기 좋고 쉬운 조작 덕에 어린이도 쉽게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리트파이터V 게임 화면. / 캡콤 제공
◆ 알립니다
이번주는 IT조선 팝컬처・키덜트 콘텐츠 독자를 대상으로 작은 선물을 마련했습니다.

본 기사 아래 소셜 로그인 기능을 이용해 댓글을 남겨 주신 한 분께 프라모델 상품을 드리겠습니다.
당첨자 발표는 2월 13일(화) 본 기사 페이지를 통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 당첨자 발표
'최익준'님께 'F-51D 무스탕 한국전쟁 버전' 프라모델 택배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댓글 남겨주신 모든 분께 감사 드립니다.
